토요일 3시~10시 스터디
커널 학습 과정
1. 쉬운책으로 6개월 보기 책 - ARM 리눅스 커널 개념스터디
2. Head.S 분석 3개월 세세하게 들어가지 말고 전체적인 줄기를 보자.(그전에 부트로더 보지말기.)
3. start kernel
참고자료
문C 블로그
-중요도에 따라서 공부하기.
-코드 주석 참고하기.
조언
- 기록을 꼼꼼하게 하자. 모든자료를 문서화하자. 남는것은 기록과 경험과 사람과 자신감.
- 자료를 이미지화 하자. 이해한것을 이미지로 표현해보자. 글로만 이해했다면 효과가 미미하다.
- 이론학습은 틈나는대로 예습/복습을 해야 한다.
- 응용쪽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지만, 커널은 잘 변하지 않는다. 때문에 커널을 익혀두면 개인의 강점으로 가져갈 수 있다.
x86계열이 아닌 ARM을 하는이유?
- 서버쪽으로 간다면 x86을 공부하는것이 맞다.
- 요즘 임베디드분야는 ARM계열을 많이 쓰기 때문..
- ARM 32bit를 공부하려면 라즈베이파이(라즈비안)보드도 괜찮다. 64bit를 공부하려면 다른 OS를 깔아야 함.
- 보드 없이 커널코어를 공부하려면 QEMU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자.
+ 6.1 추가
리눅스 코어부터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리눅스 커널 내부구조 책은 6장까지 1달안에 끝내기.
+코드로 알아보는 ARM64(1장)
1달 이후 head.s 분석 1달
이후 start kernel 분석 2달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물리메모리 관리구조 (0) | 2019.05.21 |
---|---|
메모리 관리기법과 가상메모리 (0) | 2019.05.20 |
MyBuilder 1일차 교육 정리 (0) | 2019.04.25 |
HTTP request Parser 코드 분석(JAVA) (0) | 2019.04.22 |
객체지향 자바스크립트. 그리고 프로토타입 (0) | 2019.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