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29 Thread #스레드의 개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걸까? 아니다. CPU가 스레드잡을 돌아가면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컨텍스트스위칭이 필요한데, OS의 영역이므로 부하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조건 많다고 좋은것은 아니다. #스레드 개수 CPU 코어개수 어떤일이 일어날까? 위에서 언급했던것처럼, CPU를 할당받지 못한 스레드잡을 번갈아가며 실행하기 위해 컨텍스트스위칭이 일어나는데 OS의 영역이기 때문에 부하가 많이 발생한다. #외부 디바이스 연산이 CPU보다 느려서 발생하는 문제 외부 디바이스가 연산을 하는동안 CPU는 놀게된다. 따라서 노는동안 다른 일을 처리하도록 스레드를 더 배정하도록 한다... 2020. 11. 29. 2020 11 27 오전까지만 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웹사이트가 하얀색 화면만 보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버깅을 시도하였다. # 새로고침반복적으로 새로고침을 해도 현상이 나타나자, 여러번 새로고침 해보았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 새로운 탭에서 페이지 접속브라우저는 그대로 유지한채, 새로운탭에서 동일한 페이지를 접속했다. 여전히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 시크릿모드로 접속브라우저 문제인지, 서버의 문제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크릿모드로 해당 페이지를 접속하자, 정상적으로 컨텐츠들이 표시되었다.브라우저의 문제인것을 확인했다. # 콘솔 로그 확인에러로그가 있는지 확인했지만 콘솔창은 깨끗했다. # Network 탭을 통해 request와 response 확인전부 200OK가 떨어지.. 2020. 11. 27. 2020 11 26 정규식 5제 1. 쿠키 값 가져오기 =(.*?)(;|$) = : 해당 글자와 일치하면 시작 (.*?) : 1차 캡처그룹. .*? : 모든 문자와 일치(라인피드 제외) (;|$) : ()는 그룹이지만, |랑 함께 쓰이면 ;이거나 혹은 $이거나 이다. function getCookie(key){ var value; return ( value = document.cookie.match(a + "=(.*?)(;|$)")) ? value[1] : null } 2. 이메일 검증하기 /^((?!\.)[\w-_.]*[^.])(@\w+)(\.\w+(\.\w+)?[^.\W])$/ ^: ~로 시작하는지.. 매번 얘가 있고없고가 헷갈렸었다... 이번에 미묘하게 알게댐.* testmail@mail.com -> 앞에 space가.. 2020. 11. 26. 2020 11 22 Gatling looping 반복되는 exec 블록을 함수로 추출후 repeat를 사용한다. repeat 지정된 횟수만큼 루프를 반복한다. repeat(times, counterName) { myChain } repeat(20) { myChain } // will loop on myChain 20 times repeat("${myKey}") { myChain } // will loop on myChain (Int value of the Session attribute myKey) times repeat(session => session("foo").as[Int] /* or anything that returns an Int*/ ) { myChain } // 해당 코드를 반복문으로 교체해보자. object.. 2020. 11. 22. 2020 11 19 딥링크 http혹은 https로 시작하는 인터넷 주소는 모두 특정 사이트의 웹페이지로 이동한다.예) https://soheemon.tistory.com 모바일앱에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것이 있다. 이것을 딥링크라고 한다.딥링크는 특정 주소를 입력하면 앱이 실행되거나 앱 내 특정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앱이 설치되어있을때: 앱이 실행되며 앱의 특정 화면으로 이동함앱이 설치되어있지 않을때: 앱 설치 후 실행하면 특정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게 된다(지연된 딥링크) 딥링크의 3가지 방식1) URI 스킴방식: 앱에 URI 스킴값을 등록하여 딥링크 사용2) 앱링크: Android 제공. 도메인 주소를 이용한 딥링크 사용3) 유니버셜링크: IOS 제공. 도메인 주소를 이용한 딥링크 사용 URL Scheme.. 2020. 11. 19. 2020 11 15 Gatling 문제가 발생했다. 개틀링으로 로그인하는 요청문을 레코드 한다음에 서버에 쐈더니, 401코드로 응답이 오면서 로그인되지 않았다. # 마치 레코드했었던 요청문을 서버에 쐈을때, 서버는 요청문이 재사용되는것을 알고있는것처럼 동작했다. 테스트로 다른 사이트에 똑같이 테스트 해봤을때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테스트 및 구글링으로 알아낸것 # Fiddler request resend기능을 이용해서 로그인했었던 request문을 재전송 했을때는 로그인에 성공했다. Gatling과 무슨 차이였을까? 1) 특정 헤더의 값에 따라 서버가 유효한 request인지, 아니면 XSRF공격인지 판단하는듯 했다. = Fiddler Composer기능을 이용해서 특정 request헤더를 임의의값으로 수정했을때 401에러.. 2020. 11. 1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