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Boot] 봄은 지난지 오래지만 마음만은, 스프링부트. 3일차 제일 먼저 보이는 Application.java 파일을 열어봅시다. public static void main().. 영락없는 JavaApp의 모습입니다. 일반 응용프로그램은 main부터 분석을 시작하지만.. 웹프로젝트에서는 startPage를 찾기위해 web.xml을 열어 URL을 확인하던것과 사뭇 다른 모습입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main 메서드 안에서 run메서드를 통해 Spring IOC Container를 띄우고 @SpringBootApplication을 기준.. 2019. 9. 4.
Package Presentation 설정 이클립스의 프로젝트 익스플로러에서 프로젝트 내의 패키지를 관리 할 수 있다. 이때 기본적인 패키지표시형식은 파일을 패키지 명 전체가 패키지 폴더 경로 전체로 표시된다. (Flat) Flat 과 Hierachical 방식 비교 변경방법 Ctrl + F10 단축키를 사용하거나 프로젝트 매니저탭의 화살표를 클릭 한 후.. Projects Presentation > Hierachical을 클릭한다. 2019. 9. 4.
[Window cmd] 특정 포트를 점유하고있는 프로세스 죽이기. 로컬에서 개발을 진행할때 톰캣을 올리고 내리는일이 빈번하다. 그런데 톰캣을 내릴때... 포트를 물고있는상태에서 정리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경우에는 톰캣을 올렸을때 포트가 이미 점유중이라는 에러메시지가 발생하게 된다.. 1) 현재 사용중인 포트와 해당 포트를 점유중인 프로세스의 PID를 전부 표시한다. 해당 명령어로 Tomcat의 PID를 알아낸 후에.. netstat -ano 2) taskkill 명령어로 해당 프로세스를 죽.여.준.다. 애초에 깔끔하게 죽어줬으면 이럴일 없잖아. 톰캣아. 우리 서로 번거로운일은 만들지말자. taskkill /PID ${tomcat의 PID} /F 예) taskkill /PID 5700 /F taskkill을 하고나서 바로 톰캣을 올리면 바로 안되는 경우도 있어서.. 2019. 9. 4.
[SQL] 특정 DB owner가 생성한 테이블의 정보 가져오기 Oracle 기준 SELECT A.OWNER , A.TABLE_NAME , A.COMMENTS AS TABLE_COMM , B.COLUMN_ID , B.COLUMN_NAME , C.COMMENTS AS COLUMN_COMM , B.DATA_TYPE , B.DATA_LENGTH , B.DEFAULT_LENGTH , B.NULLABLE , B.DATA_DEFAULT FROM ALL_TAB_COMMENTS A LEFT OUTER JOIN ALL_TAB_COLUMNS B ON A.TABLE_NAME = B.TABLE_NAME LEFT OUTER JOIN ALL_COL_COMMENTS C ON B.TABLE_NAME = C.TABLE_NAME AND B.COLUMN_NAME = C.COLUMN_NAME WHERE.. 2019. 9. 4.
프로젝트 빌드 혹은 톰캣 기동시 갑자기 에러가 발생할때. 방금전까지만 해도 jsp를 잘 반환하던 웹프로젝트가 갑자기 404 Notfound를 띄우거나, .xml등 설정파일을 변경했는데 적용이 안됐을때 해볼것.. *개념은 구글링 + 추측으로 작성했으니 틀린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프로젝트 클린 .class 파일을 제거하고 프로젝트를 다시 컴파일 한다. 아마.. 톰캣 클린과 다른점은.. 프로젝트 클린은 프로젝트 폴더내에서 일어나는 작업이 아닐까 한다.. 참고: https://coderanch.com/t/528330/ide/Project-Clean-Eclipse Tomcat 클린 & Tomcat Work Directory 클린 두개 다 Tomcat이 참조하고있는 파일을 삭제 후 다시 빌드한다는것은 동일하지만, 그 범위가 조금 다르다고 한다. Clean: 모.. 2019. 9. 2.
[Spring Boot] 스프링부트 2일차 https://tacademy.skplanet.com/live/player/onlineLectureDetail.action?seq=145 자바에서 사용하는 IDE는 STS와 Intellij가 있다. STS는 이클립스에 스프링 및 스프링부트 개발을 지원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IntelliJ는 젯브레인에서 유료로 판매하고 있는 개발도구로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Sring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상태여야 한다. 쿼리스트링으로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해당 URL로 접속하면, 프로젝트 설정을 내려 받을 수 있다. 디펜던시 소개 getter/setter 등 작성을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짧게 나마 써봤었는데 번거로웠던 getter/setter 생성자 과정이 없어서 편리하.. 2019.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