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메서드는 String을 매개변수로 받고.
'조건에 부합하면' true를 return 하고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false를 return 한다.
//이름에 특수문자가 포함됐는지 확인
//WhiteList라고 할수있으며... 지정한 문자 외에 다른문자가 들어가면 false를 return 한다.
var special_pattern = /^[ㄱ-ㅎ|가-힣|a-z|A-Z|\*]+$/;
if( special_pattern.test(name) == false ){
console.log('f');
//alert('이름에는 한글이나 영문만 사용해주세요.');
return false;
}
따라서 '영문과 한글만 가능'하다는 조건은, 정규식 test의 결과가 false이면 한글이나 영문 외의 문자가 들어간것이다.
//BlackList라고 할수있으며 지정한 문자가 들어가면 true를 return 한다.
var special_pattern = /[`~!@#$%^&*|\\\'\";:\/?]/gi;
if( special_pattern.test(str.value) == true ){
alert('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return false;
}
만약, 특수문자가 입력된 경우를 체크하고 싶으면. true인것을 확인하면 된다.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크박스나 라디오박스 value값은 주로 코드값으로 지정한다. (0) | 2019.03.21 |
---|---|
VIew에서 파라미터를 전달할때 Controller에서 Map으로 넘기는 방법 (0) | 2019.03.21 |
Spring with Oracle 쿼리 연동 (0) | 2019.03.19 |
Spring, RestController에서 @PathVariable로 email을 넘길때 이슈. (1) | 2019.02.21 |
filter사용시 재귀호출로인한 too many redirect 문제 (0) | 2019.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