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프로젝트의 API를 60% 설계 및 구현했다. 스트럿츠 프레임워크는 url이 하나라서 구조를 깔끔하게 잡기가 까다롭다.. 아직 익숙해지지 않아서 겠지.
서블릿객체와 메서드을사용하는데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는데, 스트럿츠에 익숙하지 않아서 지원하는 기능들을 활용 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기능단위로 쪼개서 구현하고 있는데 오늘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기획서를 보던 중
간단하게 생각했던 기능이 사실 간단하지 않다는것을 깨달았다. 기존에 모듈화해놓은 메서드를 조합해서 쉽게 구현될줄 알았지만.. 결국 새로운 쿼리를 넣고 기존 메서드와 로직의 흐름을 수정해야겠다. 기획서 분석과 설계에 시간을 더 투자하지않은것이 후회가 된다.
지금까지 한가지 잘했다고 생각한점은 첫번째로 하위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로그를 찍고 위에서 처리하도록 설계한것이다. 덕분에 디버깅이 한결 수월해지고 있다. Ajax로 호출하는부분은 예외가 발생했을때 reseltmsg로 간략한 에러를 반환하도록 했으니 CS가 올라와도 대응이 한결 수월할것이다.
두번째는 예외처리를 꼼꼼하게 진행했다는 것이다. 화면에서 한번, 서버에서 한번 입력값 검증을 했다. 로그아웃시 세션이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는 문제때문에 사용자아이디를 request객체와 세션객체로 받아서 서로 다르면 로직을 실행하지 않게 하는것도 잘 처리한것 같다.
insert와 update는 처음이라 조금 겁이나서 약간 오버스러울정도로 예외처리를 한것이 오히려 도움이 되고있는것 같다. 나중에 쿼리로 직접 데이터 보정을 하게되는거 보다는 나으니까...
무튼 힘들었지만 힘들고 고민한 만큼 성장한것이 느껴지던 하루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가 올라왔는지 확인하는 window batch file (0) | 2020.08.14 |
---|---|
2020 08 08 (0) | 2020.08.08 |
2020 07 30 (0) | 2020.07.30 |
힘내봐요! Vuex의숲 (0) | 2020.07.28 |
JAVA Exception 처리 (0) | 2020.07.27 |
댓글